어장환경 수용력 기반 연구
연구 목적 및 필요성
- 연안 양식해역은 가용 먹이량을 초과한 시설량 증대 및 어장환경 약화로 양식생물의 생존 및 성장률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감소 하고 있음.
- 가막만의 녹색 굴, 서해안의 김 황백화 현상, 진동만 미더덕 생산량 감소 등 발생
- 부영양화가 진행되지 않은 일부 해역에서도 양식생물의 미성숙으로 인해 양식기간이 연장되고 있으므로, 양식해역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을 위해서는 어장환경 수용력에 적합하도록 양식생물 시설량을 재조정할 필요 가 있음
- 어장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품가치가 있는 양식생물의 생산량이 최대가 되는 시점의 양식생물 시설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어장환경 수용력을 산정 할 필요가 있음
- 지속적 양식 생산성 유지 및 어장환경 관리를 위한 과학적이고 타당한 어장환경 수용력 산정 필요
연구 목표
- 맞춤형 연안어장 현황조사를 통한 양식생산성분석 및 양식시설의 기능적 설계와 배치 표준 제시
- 양식장내 유기물질에 의한 퇴적환경 오염도를 파악
- 양식생물의 중요한 먹이원인 입자물질에 대한 과학적 정량화
- 양식어장 환경과 양식생물의 저장에너지의 축적 , 소모 주기를 비교
- 수온 , 먹이환경과 같은 외부요인에 대한 양식생물의 성장 · 산란 활동과의 상관성 규명
- 환경에 대한 양식생물의 여수율 , 섭이율 , 배설율 , 배출율 , 호흡율 조사와 에너지 수지 정량화를 통한 SFG 산정 및 생리인 수식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