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기해양생태계 연구: 환경변화와 생태계 반응
연구개발 목표
- 다학제간 통합연구를 통해 환경변화에 대한 생물반응과 물질순환 패턴 구명
- 한반도 해양생태계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 연구, 모니터링 체제의 유지, 모델 구축 등으로 현상의 이해와 예측결과 제시
- 해양생태계 관리 정책과 국제기구 활동관련 대처방안 제시
- 해양생태계장기해양생태계 연구는 과학적 기초 조사를 통하여 생태계 보존․관리를 위한 해양정책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, 해양생태계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장기 연구를 통하여 생태계에 일어나는 제반 현상과 과정을 이해하고 또한, 생태계 모델 구축에 의한 미래예측을 통하여 미래 해양생태계 유지를 위한 정책자료를 제시하고 국제적 기구 활동 및 규제에 대한 대처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
연구내용
- 장기해양생태계 연구는 1) 장기해양생태계 연구/모니터링 체제 구축/유지, 2) 장기해양생태계 연구 기반 구축, 3) 환경변동에 따른 생물반응을 이해, 4) 물질순환에 대한 역학관계 규명, 5) 통합모델 구축을 통한 미래 예측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함
- 한반도 해양생태계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자 하며, 이를 연구주제로 선정하여 수행
- 생태계 기능연구의 경우 연안은 수치모델(numericla model), 외양은 박스모델(box model)로 먹이망 내 물질순환을 연구하여 각 생물군의 생태계 내 기능을 이해하고, 나아가 통합생태계모델 구축을 통해 미래 해양생태계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마련
Research Group : LTMER(Long-Term Marine Ecosystme Research)
www.ltmer.re.kr
www.ltmer.re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