온난화 관측 모델 시스템으로 서남극 아문제해 해빙역 연구
연구개발 목표
- 서남극해 결빙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 과 신생산성의 조절 요인 분석
- 식물플랑크톤 생산성의 연간변동성 측정
- 식물플랑크톤의 macromolecular composition을 분석을 통한 physiology 상태 파악
연구내용
-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 측정과 new production을 측정 - 물리적인 기작 특히 해빙관련기작에 의한 해빙주변 또는 해빙아래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을 결정짓는 환경적인 요소 파악
- 식물플랑크톤의 macromolecular composition 분석 - 해빙주변 환경과 영양염분 측정 및 분석
- 일차생산자에 의해 섭취되는 주요 무기영양염분의 농도파악으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무기영양염분 확인 및 이들의 농도구배에 따른 생산성과의 상관관계 도출
- 식물플랑크톤의 new production과 sediment trap자료에서 얻어지는 organic carbon의 sinking rate와 비교 분석
-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과 new production의 시계열 분석
- 아질산염과 암모니아농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f-ratio값과의 연관성 파악
- 수심별, 지역별 f-ratio 특성비교
- 식물플랑크톤의 종분석에 따른 macromolecular composition조성과의 관계 파악
- 식물플랑크톤이 생산하는 단백질과 Lipids의 조성 분석과 해빙주변 환경과 영양염분의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
- 환경조건에 따른 거대분자 구조 조성으로 식물플랑크톤의 생리적 특성 파악 및 상위 영양단계인 krill의 생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파악
- 해빙아래에 거주하는 식물플랑크톤과 해빙이 없는 해양에 존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macromolecular composition조성 비교 분석